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요도를 통해서 소변이 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서 요도 이외의 부위를 통해서 소변이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요. 예컨대 방광 질루에서 소변이 질을 통하여 나오는 경우는 요 유출이라고 표현합니다.
요실금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러나 최종적인 원인은 방광 또는 괄약근에 있으며 원인이나 나타나는 현상에 따라 요실금을 분류하고 있지만 아직 통일된 분류는 찾기 어렵다.
요실금도 종류가 있습니다.
● 진성 요실금 (true incontinence)
외상이나 수술로 괄약근이나 이를 지배하는 신경이 손상을 받거나 이소성 요관과 같은 선천성 기형 등으로 인해 방광에 요가 고일 사이 없이 방울방울 계속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 복압성 요실금 (stress incontinence)
긴장성 요실금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장 흔한 요실금으로 대개 분만 경험이 있는 중년 또는 노년의 여성에게서 생긴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또는 크게 웃거나 줄넘기를 할 때, 심하면 걸을 때도 요실금이 일어난다. 이는 분만 시의 손상 혹은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골반 지지 조직이 결손 되거나 방광경부의 기능부전으로 갑자기 복압이 상승될 때마다 요가 새어 나오게 된다. 절박 요실금 (urge incontienece)은 방광의 심한 염증으로 많이 발생하는데 요의가 생기자마자 참을 수 없이 불수의적으로 배뇨가 되는 증상을 말한다. 전립선비대증 등 하부요로의 폐색이 있는 경우 혹은 복압성 요실금이 있는 경우에도 동반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중풍환자에서 볼 수 있듯이 배뇨근의 억제를 지배하는 신경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자주 관찰된다.
● 일류성 요실금 (overflow incontinence)
요도의 폐색이나 방광의 수축부전으로 요폐가 생겨서 요가 넘쳐 흘러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치료는 요실금의 원인과 분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분류는 대체로 환자의 병력과 이학적 검사만으로도 알 수는 있지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방사선학적 검사, 요류역학검사, 내시경 검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원인에 따라 내과적 치료, 수술적 치료, 행동 요법 등 여러 가지 치료법이 적용된다. 여기서 수술치료를 할경우 어떻게 보험에서 보장이 되는지를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요실금 수술 보상청구
예를 들어 요실금(N39.3) 진단으로 그 치료를 목적으로 요실금수술-질강을 통한 수술-기타의 경우(수가코드:R3565)했다고 가정하고 말해보겠습니다.
실비
실비에서 요실금은 면책으로 보상하지 않습니다. 다만 09.9월 이전 실비라면 R32의 질병코드만 보상됩니다.
질병수술비
면책사유로 보상되지 않습니다.
N대 질병수술비
면책사항으로 보상이 되지 않아요.
1~5종수술비
47. 방광류·요실금 교정수술, 1종수술로 보상검토 가능합니다.
1~8종수술비
급여는 보상이 됨으로 수술명: 단순 요실금 수술 (수술코드: L075)" 1종수술로 보상검토 가능합니다.
필요서류
- 진료비영수증
- 진료비세부내역서
- 수술확인서 - 수술명과 질병코드필수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류유산 수술시 실비와 수술비보장 여부 (0) | 2024.01.17 |
---|---|
치아보험에서 뿌리(치근)가 남아있음에도 보상이 안되는 이유 (1) | 2024.01.17 |
간편보험 암특약은 가입전 암의 전이암, 재발암, 잔존암이 보장여부 (0) | 2024.01.16 |
2023년 이후부터 가입한 자동차 부상치료비 청구시 필요한 서류가 바뀌었어요. (1) | 2024.01.16 |
메리츠 화재 간병인지원입원일당 청구시 구비서류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