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DB 주요 7대기관 수술비는 무엇일까?

by 척척팍사 2024. 2. 18.
반응형

 

DB손보 7대 기관수술비(관혈/비관혈)

증권내용

7대 기관수술비특약은 7가지의 신체기관에 대한 수술비의 보장입니다. 뇌질환, 심장질환은 가장 큰 금액의 보장을 받고, 간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그리고 담낭, 담도, 췌장질환을 순으로 보장금액이 작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연간 1회 한도 지급합니다. 이는 해당하는 뇌혈관으로 관혈수술을 하였다면 뇌혈관 관혈수술은 1년 안에는 다시 보장이 안됩니다. 비관혈을 하게 되면 보장은 됩니다.

 

  • 그룹 1 : 뇌질환, 심장질환 - 관혈수술 가입금액 비관혈시 가입금액의 50%
  • 그룹 2 : 간질환,폐질환, 신장질환 - 관혈수술 시 가입금액의 50% , 비관혈시 가입금액의 25%
  • 그룹 3 : 소화기관  - 가입금액에 50%, 담낭, 담도 췌장질환 - 관혈수술 가입금액 비관혈시 가입금액의 50%(그룹 1,2와는 다른 가입금액으로 존재합니다.)

관혈관 비관혈의 차이점은 아래 확인가능

2024.02.14 - [보험] - 수술특약에서 관혈수술, 비관혈 수술의 정의

 

수술특약에서 관혈수술, 비관혈 수술의 정의

두 가지의 차이점을 알아야 하는 경우 관혈수술, 비관혈수술은 과거에는 전혀 몰라도 되었지만 요즘 가입하는 보험들은 관혈이냐 비관혈이냐를 직접적으로 기재해서 보상금액을 다르게 주는

whgusaud22.tistory.com

 

7대기관 1그룹 뇌질환, 심장질환 약관

먼저 가장 높은 보장금액설정이 가능한 뇌질환 심장질환의 약관상 보장하는 질병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마도 저의 예상으로는 뇌, 심장혈관질환등 제법 폭넓게 보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뇌혈관

거미막하 출혈  질병코드 : I60
뇌내출혈   질병코드 :  I61
기타 비외상성 두개내 출혈   질병코드 :  I62
뇌경색증   질병코드 :  I63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   질병코드 :  I64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뇌전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질병코드 :  I65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대뇌동맥의 폐쇄 및 협착   질병코드 :  I66
기타 뇌혈관 질환   질병코드 :  I67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뇌혈관장애   질병코드 :  I68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질병코드 :  I69

심장질환

급성 류마티스열 질병코드 :  I00~I02
만성 류마티스 심장질환 질병코드 :  I05~I09
허혈심장질환 질병코드 :  I20~I25
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 질병코드 :  I26~I28
기타 형태의 심장병 질병코드 :  I30~I52
[A39.5† : 수막알균성 심장병((I32.0*,I39.8*,I41.0*,I52.0*)) 질병코드 :  A39.5†
[B37.6† : 칸디다심내막염] 질병코드 :  B37.6†

 

뇌 쪽으로는 상해 쪽은 없는 게 아쉽지만 이거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려운 부분이긴 합니다. 심장 쪽은 부정맥계열까지도 포함하고 있는 것 확인이 됩니다.

 

7대기관 2그룹 간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간질환

바이러스 간염 질병코드 :  B15~B19
간의 질환 질병코드 :  K70~K77
 [B25.1† : 거대세포바이러스간염(K77.0*)] 질병코드 :  B25.1†
 [B58.1† : 톡소포자충간염(K77.0*)] 질병코드 :  B58.1†

폐질환

폐렴  질병코드 :  J12~J18
 [B01.2† : 수두폐렴(J17.1*)]  질병코드 :  B01.2†
 [B05.2† : 폐렴이 합병된 홍역(J17.1*)]  질병코드 :  B05.2†
 [B25.0† : 거대세포바이러스폐렴(J17.1*)]  질병코드 :  B25.0†
 [B58.3† : 폐톡소포자충증(J17.3*)] 질병코드 :  B58.3†

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  질병코드 :  J40
단순성 및 점액화농성 만성 기관지염   질병코드 :  J41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질병코드 :  J42
폐기종   질병코드 :  질병코드 :  J43
기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질병코드 :  질병코드 :  J44
천식   질병코드 :  질병코드 :  J45
천식지속 상태   질병코드 :  질병코드 :  J46
기관지확장증   질병코드 :  J47
하기도의 화농성 및 괴사성 병태  질병코드 :  J85~J86

신장질환

급성 신부전  질병코드 :  N17
만성 신장병 질병코드 :  N18
상세불명의 신부전  질병코드 :  N19

 

그룹 2역시 제법 쓸만한 보장내용을 갖추고 있습니다. N대질병과 비슷한 유형으로 생각됩니다.

 

7대기관 그룹 3 소화기관질환 / 담낭, 담도 췌장 질환

소화기관 질환

위궤양   질병코드 :  K25
십이지장궤양   질병코드 :  K26
상세불명부위의 소화성궤양   질병코드 :  K27
장의 혈관장애   질병코드 :  K55
탈장이 없는 마비성 장폐색증 및 장폐색   질병코드 :  K56
장의 게실병   질병코드 :  K57
식도의 기타 질환   질병코드 :  K22.0~K22.7

담낭,담도 / 췌장질환

담석증    질병코드 :  K80
담낭염(쓸개염)    질병코드 :  K81
담낭의 기타질환    질병코드 :  K82
담도의 기타질환    질병코드 :  K83
급성 췌장염    질병코드 :  K85
췌장의 기타 질환    질병코드 :   K8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담낭, 담도 및 췌장의 장애    질병코드 :  K87
[B25.2†:거대세포바이러스췌장염(K87.1*)]    질병코드 :  B25.2†
[B26.3†:볼거리췌장염(K87.1*)]     질병코드 :  B26.3†

소화기관등은 제법 수술하는 경우가 많은 질병코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액이 적은 이유는 실제 병의 위험도가 낮은 편인 것도 있고 다빈도 수술도 포함되어 있음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에 7대기관 수술특약은 뇌심장을 기본위주로 가져가면서 간질환과 소화기계 담낭 담도등을 추가로 혜택을 저렴하게 가져갈 수 있는 특약입니다. 하지만 7대 기관만 가져가는 것을 선택하기보다는 건강상 특이사항으로 인한 경우가 아니라면 특정질병수술비 보장이 좀 더 우위에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보험금 청구시 필요서류로는 질병분류 코드가 기재되어 있고 수술내용 확인가능한 진단서 또는 수술확인서가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