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로봇수술시 비용과 보험 보상 특약 종류

by 척척팍사 2024. 4. 3.
반응형

목차
1. 로봇수술의 통계와 실적
2. 로봇수술의 비용
3. 로봇수술 특약종류

 

로봇수술의 통계와 실적

기술의 발전은 의료 쪽에서도 많은 생명을 살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로봇수술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의사가 직접 하기 불가능한 수술을 포함하여 수술 이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세브란스병원에서 2005년~2021년도 사이에 3만건의 로봇수술을 하였으며, 임상과 별 로봇수술을 많이 한 통계자료가 흥미롭습니다.

 

전체 3만건중 임상과 별 로봇수술통계

외과 전체 중 47% 갑상선내분비외과 28%
대장항문외과 5%
위장관관외과 9%
간담췌외과 3% 등
비뇨의학과 전체 중 37%  
그외 전체중 16% 산인인과 5%
이빈인후과 9%
흉부외과(폐) 2%

 

외과 비뇨의학교에서 주로 로봇수술을 많이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세브란스병원에서의 로봇수술 주요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갑상선내분비외과 세계 최초 갑상선 로봇수술 8천건이상시행
목절개 수술 대비 합병증, 재발률 차이없고 미용상 우수
위장관외과 비만환자 185명 수술 분석 결과 로봇수술군이 복강경,개복수술에 비해서 5년생존률이 높으며 재발률이 낮다.
대장항문외과 국내 의료기관 최다 1600여건 로봇수술
대장암 전체 로봇수술 환자 개복 전환율 0.25% 낮음
간담췌외과 국내 최초 단일공 담낭절제술, 간이식 공여자수술
세계최초 SP담낭절제술
유방외과  아시아 최초 로봇 유방절제술, 세계최초 SP유방절술
국내 최초 단일기관 유방 로봇수술 200여건
소아외과 담관낭종수술 포함 200건 이상의 로봇 소아외과 수술
이식외과 국내최초 로봇 신장이식 수술
비뇨의학과 아시아 최초 임상과 단독 로봇수술 1만사례
세계 최초 SP로봇수술(신장암, 요관과 방광 재건)
이빈인후과 구강,귀 뒤 접근법으로 외부 노출 상처없이 두경부 암 치료
세계최초 SP 이비인후과 로봇수술
흉부외과 400여건의 로봇 식도암 수술시행
식도암 3년 생존률 85%로 매우높음
세계 최초 SP 흉부외과 로봇수술
구강악안면외과 국내 최초 구강악안면외과 로봇수술
국내 최다증례
세계최초 SP 구강안면외과 경부암파절 절제술

 

세브란스만 통계를 찾을수 있어서 보았는데 상당히 예후가 좋아서 높은 선호도를 갖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로봇수술의 비용

이러한 로봇수술은 대부분 비급여라 많은 비용이 드는 편입니다.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제도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명칭 코드 부위 구분 최저비용 최고 비용
다빈치 로봇수술 QZ961 갑상선 12,000,000원 6,000,000원
다빈치 로봇수술 QZ961 식도   12,000,000원
다빈치 로봇수술 QZ961 19,000,000원 8,000,000원
다빈치 로봇수술 QZ961 전립선 13,000,000원 9,000,000원
다빈치 로봇수술 QZ961 방광 전립선 18,000,000원 14,000,000원

 

2024.02.06 - [보험] - 로봇암 수술시 실비에서 보상 여부

 

로봇암 수술시 실비에서 보상 여부

로봇암수술 보상여부(다빈치 로봇 수술) 만약 실손의료비(실손, 유병력자실손) 가입하시고 암진단 후 암수술을 신기술인 로봇수술을 하게 되신다면 실손입원의료비에서 보상 가능할까요? 로봇

whgusaud22.tistory.com

 

로봇수술 특약종류

최근에 많이가입한 로봇수특약 중 대표적인 게 다치로봇암수술특약입니다. 이 수술특약은 다빈치 로봇수술과 암수술이라는 는 조건에 해당되면 보상이 받는 특약입니다.

 

최근에는 특정질환 로봇수술특약이 나와서 암수술을 제외하고 자궁근종,갑상선양성종양등 암을 제외한 40개 질환에 대해서 다빈치로봇 레보아이로봇을 보장하며 점점 로봇수술특약이 따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로봇수술외에도 기본적인 1~5종수술, 질병수술, N대질병등에서 보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수술은 대부분 상급종합병원에서 가능한데 상급종합병원 질병수술특약에서도 보상이 가능합니다.


2024.03.19 - [보험] - DB 질병수술비(상급종합병원) 특약의 장점

반응형